AG/MacOS9

맥북 한글키 윈도우처럼 바꾸기 (한영 전환키)

맥북 한글키 윈도우처럼 바꾸기 - 맥과 윈도우가 다른 점은 매우 많지만, 영어가 아닌 한국어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가장 첫 관문은 한글키 (한영 전환키)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커맨드 + 스페이스바로 한글 변환을 할 수 있었는데, 몇 년 전부터는 기본값이 CapsLock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익숙해지면 또 익숙해질 수 있는데요. 기존에 윈도우를 오랫동안 사용하셨던 분이라면, 이런 부분이 굉장히 불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에서는 윈도우 집에서는 맥을 번갈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윈도우에서도 맥에서도 한글키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는데요. 윈도우를 맥 처럼 바꿀 수도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맥북에서 한글키(한영 전환키)를 윈도우 처럼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

AG/MacOS2021.12.31

맥 폴더 암호로 잠금 방법 (폴더 비밀 번호 만들기)

맥 폴더 암호로 잠금 방법 (폴더 비밀번호 만들기) - 하나의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요할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 문제로 보여주기 싫은 파일이나 문서를 비밀번호 폴더에 넣고 사용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폴더 비밀 번호를 만들수도 있지만, 맥에서는 기본적인 디스크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맥 폴더를 암호로 잠글 수도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맥 폴더 암호로 잠그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비밀 폴더를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쉬운 방법을 꼽자면 USB메모리나 외장하드를 맥용 형식으로 포멧하면서 암호화 옵션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USB메모리나 외장하드를 다시 숨겨놓는다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면서 완벽한 비밀 상태가 되는데요. 여분의 USB메모..

AG/MacOS2021.11.06(1)

맥OS 사파리 개발자 모드 보는 방법

맥OS 사파리 개발자모드 보는 방법 - 이제는 윈도우에서도 크롬을 주로 사용하지만, 맥에서는 사파리가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크롬 대신 사파리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꽤 많으십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맥을 다시 사용하면서 오랫동안 사용하던 크롬브라우저 대신 사파리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요. 사파리의 안정성은 예전과는 달리 매우 안 좋아진 것 같습니다. 걸핏하면 꺼지더라구요. 🙀 때때로 사용하던 개발자 모드 역시 크롬과는 달리 숨겨져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맥OS 사파리 개발자모드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OS 사파리 개발자모드 1 사파리의 개발자모드는 바로 볼 수가 없고 환경설정을 통해 개발자용 모드를 열여줘야 가능합니다. 사파리의 메뉴바에서 환경 설정을 클릭합니다. 2 환..

AG/MacOS2021.10.06

맥OS 기본 프로그램 변경하는 방법

맥OS 기본프로그램 변경하는 방법 -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맥OS를 사용하게 되면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기 마련인데요. 기존에 익숙했던 방법들 대신 기본적인 방법부터 새롭게 배워야 한다는 것은 당연히 조금 불편한 부분입니다. 윈도우에서는 설정앱에서 인터넷이나 동영상 파일과 같은 자주 사용하는 방식의 프로그램들은 파일 더블 클릭시 기본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맥에서는 파일을 클릭하여 설정창에서 같은 파일 형식을 어떻게 실행할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맥OS에서 기본 프로그램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OS 기본 프로그램 변경하는 방법 1 예로 MOV 확장자의 동영상 파일로 설정해 보겠습니다. 현재 설정된 기본 프로그램은 맥OS에 기본 탑재된 동영상 플레이..

AG/MacOS2021.10.06

맥북 한글자소분리된 파일 이름 붙여서 전송하는 방법 (한글 파일명 깨짐)

맥북 한글자소분리된 파일 이름 붙여서 전송하는 방법 - 맥북을 사용할때 살짝 불편한 부분이 바로 한글 파일 이름입니다. 이런 점때문에 예전부터 파일이름을 영문으로 하는 습관을 가지신 분들도 계시지만, 아무래도 영문보다는 한글이 쉽게 알 수 있어서 저는 한글 파일명을 고수하는데요. 드롭박스나 원드라이브등을 이용하면 한글 파일 명이 자동으로 수정되고, 또 자동 변환하는 사이트도 있지만, 이도 저도 아닐 때는 여전히 한글 파일명이 자소 분리된 상태로 보내지게 됩니다. 파일의 내용은 이상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보내도 상관없지만 업무나 공식적인 서류같은 거라면 왠만하면 한글 파일명을 수정해서 보내는 것이 좋은데요. 목차 한글파일명이 자소분리 되는 이유 자소분리의 원인은 맥에서는 조합형과 완성형을 지원하지만, 윈..

AG/MacOS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