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이드는 윈도우11에서 컴퓨터 용량을 정리하는 간단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최근에 노트북의 기본 용량이 256GB 정도인 경우가 많은데요. 윈도우 설치하고 몇 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다보면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드디스크 용량을 꽉 채워서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 성능이 느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이번 글에서 컴퓨터 용량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들어가기에 앞서 휴지통에 휴지통 비우기를 하지 않은 경우 먼저 해보시길 바랍니다. 파일을 삭제할 경우 휴지통으로 파일이 이동되는데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지만, 그 전까지는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만약,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휴지통 비우기를 자주 하시면 디스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임시파일 삭제로 용량 정리하기
설정 앱에서 저장소를 선택하면 용량 정리를 쉽게 할 수 있는데요. 설정 – 시스템 – 저장소를 선택합니다.
저장소 화면에서는 설치된 앱, 기타, 임시 파일 용량이 계산되어 표시되는데, 임시파일 > 기타 > 설치된 앱 순으로 정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임시파일의 경우 말 그대로 임시파일로 삭제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 파일이거나 다시 생성되는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임시파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임시파일 분류별 용량이 계산되어 나옵니다. 제 경우에는 사진 파일을 많이 봤기 때문에 미리보기 사진의 용량이 500메가 바이트로 표시되고 있는데요. 삭제할 영역을 선택한 후 파일 제거를 누르면 임시파일이 삭제됩니다.
다운로드 파일의 경우에는 다운로드 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을 뜻하는데요. 해당 부분을 선택한 후 파일 제거를 하면 다운로드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이 모두 삭제되므로 혹시 보관해야 할 파일이 있는지 확인후 제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타 영역 정리로 용량 정리하기
다음으로는 기타 영역입니다. 기타 영역에는 특성을 알 수 없는 폴더 중 용량이 큰 순으로 보여주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파이썬 설치시 설치한 아나콘다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시 설치된 캐시폴더들이 용량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폴더 위치를 클릭하면 해당 폴더로 바로 이동이 되는데요. 이런식으로 이동해서 폴더 자체만 제거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설치된 앱을 먼저 삭제한 후 제거 과정에서 같이 설치된 캐시 폴더등이 지워지지 않는다면 직접 지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gradle 폴더의 경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시 생기는 캐시 폴더인데 앱 삭제를 한 후에도 남아있어서 직접 삭제해야 용량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앱 삭제로 윈도우 용량 정리하기
많은 앱을 설치했다면 용량이 당연히 부족한데요. 자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면 삭제해서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앱을 확인한 후 정렬 기준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면 용량이 큰 앱이 가장 위로 표시되게 됩니다. 삭제할 앱의 오른쪽에 점 셋 아이콘을 눌러 제거를 누르면 해당 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계산되지 않는 특정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크기 순으로 정렬시 가장 아래에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시스템 파일 정리로 윈도우 용량 정리하기
윈도우 버튼을 누른 후 디스크 정리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디스크 정리 앱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드라이브를 선택하려고 표시되는데요. C 드라이브에 윈도우가 보통 설치되기 때문에 C 드라이브를 선택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디스크 정리 화면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시스템 파일 정리 버튼을 눌러 선택합니다.
이제 시스템 파일을 포함한 정리가 가능한 요소들이 표시됩니다. 각 요소별 설명이 아래 표시되므로 용량이 큰 순으로 지워도 되는 부분들을 체크하여 확인을 누르면 해당 부분이 정리됩니다.
용량이 부족할때 1순위로 정리하는 것은 윈도우 업데이트 정리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은 이미 설치한 모든 업데이트 파일의 복사본이기 때문에 굳이 보관해야 할 필요성이 없습니다. 또한, 전송 최적화 파일은 업데이트 다운로드시 캐시 파일로 역시 보관해야 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용량이 부족하다면 삭제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복원 지점 삭제로 윈도우 용량 정리하기
윈도우 복원 지점은 특정 시점마다 백업을 따로 저장하는 기능인데요. 문제가 생겼을 때 저장된 지점으로 윈도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원지점이 만들어질 수록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만약 용량이 부족하다면 복원 지점을 삭제하고 해당 기능을 끄게되면 용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설정 앱에서 시스템 – 정보 를 차례로 선택하면 화면 중 시스템 보호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보호 창에서 아래 복원설정 구성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누릅니다.
시스템 보호 대상 로컬 디스크라는 창이 뜨는데요. 해당 창에서 이 드라이브에 대한 모든 복원 지점을 삭제합니다. 옆의 삭제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복원 지점이 삭제되며 윈도우 용량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윈도우 용량이 부족하다면 시스템 보호 사용 안함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끄게되면 복원지점을 더이상 만들지 않으므로 디스크 용량을 아낄 수 있습니다.
임시파일 삭제, 기타 폴더 삭제와 앱 제거, 복원지점 삭제, 시스템 파일 삭제 등 총 5가지 간단한 방법으로 윈도우 용량 정리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렇게 해도 디스크 용량이 얼마 남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좋은 것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거나 외장 하드드라이브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또는 네이버 마이박스, 구글 드라이브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