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이드는 2025년 치뤄지는 21대 대통령선거시 사전투표 일정, 시간, 준비물 및 내 주변 사전투표소 찾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TABLE OF CONTENTS
사전투표 일정 / 시간
사전투표일 | 2025년 5월 29일 (목) ~ 2025년 5월 30일 (금) |
사전투표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
선거일투표는 2025년 6월 3일 (화)이며 선거일투표시간은 오전 6시 ~ 오후 8시까지 가능합니다. 사전투표시간은 오후 6시, 선거일투표시간은 이보다 2시간 긴 오후 8시까지 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전투표시 준비물
사전투표시에는 주민등록증, 여권, 장애인등록증, 학생증 등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명서를 지참해야 합니다.
모바일 국가자격증이나, 모바일 신분증은 실행과정을 보여줘야 합니다. 캡쳐화면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전투표 진행과정
- 본인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합니다.
- 관내선거인은 투표용지를 받은 다음 기표소에서 기표 후 보이지 않게 접어서 투표함에 투입합니다.
- 관외선거인은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받은 다음, 기표소에서 기표후 회송용봉투에 넣어서 밀봉 한다음 관외투표함에 투입합니다.
관내 / 관외 어떤게 다른가요?
만약 양천구 안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양천구민이 투표할 경우 관내 선거인으로 투표하면 됩니다.
만약 양천구 안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 양천구민이 아닌 강남구, 부산시 등 다른 지역의 주민이 투표할 경우에는 관외 선거인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선거일 투표의 경우 거주지 지정투표소에서 투표해야 하지만, 사전투표의 경우에는 주민등록상 주소가 어떻게 되든 상관없이 어떤 사전투표소에서도 투표가 가능하다는 점 꼭 참고하셔서 투표하시기 바랍니다.
사전투표시 유의해야 하는 점
- 투표소 내에서는 인증사진을 촬영할 수 없습니다.(언론 보도 목적 제외)
- 누구든지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하면 안됩니다.
- 사전투표지 및 투표지를 촬영하는 것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별금에 처해질 수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 투표소 내에서 몇 번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말하면 안됩니다.
- 기표는 반드시 기표용구로 해야 하며, 연필이나 펜으로 표시하면 안됩니다.
- 하나의 투표용지에는 기표용구로 한번만 찍어야 합니다.
사전투표 / 선거일 투표시 인증샷 가능 범위
사전투표시 / 선거일 투표시 투표소 및 기표소에서 인증샷 및 촬영은 불가능합니다.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 및 사전투표지를 촬영하는 것도 위법입니다. 투표소로부터 100미터 안에서 투표 참여를 권유하거나 특정 정당 후보자를 지지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투표소 밖에서 촬영하는 사진은 촬영이 가능하며, 후보자 선거 벽보 등, OO동 OO투표소라는 시설물 안내 현수막등을 배경으로 촬영하는 것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엄지척이나 브이 등으로 손가락으로 기호를 표시한 인증샷도 가능합니다.
내 주변 사전투표소 찾기
내 주변 사전투표소를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네이버를 통해 사전투표소를 찾는 방법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사전투표소”를 검색하면 본인이 있는 주변으로 사전투표소를 표시해 줍니다.
또는, 네이버지도에서 “사전투표소”를 검색하면 본인이 있는 주변으로 사전투표소가 표시됩니다. 해당 투표소 아래로 승강기, 경사로 여부와 점자유도블록, 장애인화장실 여부가 표시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에서도 동일한데요. 네이버 지도 앱에서 사전투표소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투표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방문할 사전투표소를 터치하면 승강기, 경사로, 점자유도블록, 장애인화장실 등의 시설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사전 투표소 메뉴에서 각 지역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사전투표소와 선거일투표소는 동일한가요?
아닙니다. 사전투표소와 선거일투표소는 동일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투표일에 선거하실 분은 사전투표소 정보를 확인하시고, 선거일에 투표하실 분의 경우 선거일 투표소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선거일 투표소는 어떻게 찾나요?
선거일 투표소는 2025년 5월 24일부터 확인이 가능하여, 현재(2025년 5월 19일)에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5월 24일 이후 중앙 선거관리 위원회 (https://www.nec.go.kr)에서 선거일투표소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