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이드는 갤럭시 워치8 / 갤럭시 워치7와 달라진 점을 비교합니다. 스펙, 디자인, 배터리, 가격 및 추가된 기능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이번 갤럭시 폴드7, 플립7과 함꼐 갤럭시 워치8 / 갤럭시 워치 8 클래식이 발표되었는데요. 대부분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하신다면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워치를 구매하신다면 갤럭시 워치를 고려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 기존 전작과 비교하여 갤럭시 워치8 의 스펙 변경점과 가격, 디자인, 추가된 기능을 간단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갤럭시 워치 7 / 갤럭시 워치 8 스펙 비교
항목 | 갤럭시워치7 (40mm/44mm) | 갤럭시워치8 (40mm/44mm) |
---|---|---|
프로세서 | 엑시노스 W1000 (3나노, 5코어) | 엑시노스 W1000 (3나노, 5코어) |
램 / 저장공간 | 2GB / 32GB | 2GB / 32GB |
디스플레이 | 33.3mm(40mm) / 37.3mm(44mm) Super AMOLED 해상도: 432×432(40mm)/480×480(44mm) 최대 밝기: 2000니트 | 34mm(40mm) / 37mm(44mm) Super AMOLED 해상도: 438×438(40mm)/480×480(44mm) 최대 밝기: 3000니트 |
크기/두께 | 40.4 x 40.4 x 9.7(40mm) 44.4 x 44.4 x 9.7(44mm) | 42.7 x 40.4 x 8.6(40mm) 46.0 x 43.7 x 8.6(44mm) |
무게 | 28.8g(40mm) 33.8g(44mm) | 30g(40mm) 34g(44mm) |
배터리 | 300mAh(40mm) 425mAh(44mm) | 325mAh(40mm) 435mAh(44mm) |
사용시간 | 최대 40시간(AOD 끔) | 최대 40시간(AOD 끔) |
내구성 | 아머 알루미늄, 사파이어 글래스, 5ATM/IP68 | 아머 알루미늄, 사파이어 글래스, 5ATM/IP68 |
주요 센서 | 심박수, 혈압, 심전도, BIA, 온도, GPS 등 | 심박수, 혈압, 심전도, BIA, 온도, GPS 등 |
디자인 | 전통적 원형 디자인 | 스퀘어클 (사각+원형 결합) 디자인으로 변경 |
기타 | 수면 측정, GPX 트래킹, 음성인식 등 | 수면무호흡감지, 텍스트 번역·요약, 항산화지수 등 AI 기능 강화 |
갤럭시 워치8은 프로세서, 램, 소재, 센서 부분에서는 갤럭시 워치7과 동일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최대밝기가 2000니트에서 3000니트로 상승하였고, 두께가 1.1미리 얇아진 부분, 배터리 용량이 40mm의 경우 25mAh, 44mm의 경우 10mAh 상승하였습니다.
갤럭시 워치 8 / 갤럭시 워치 7 디자인 변경점
갤럭시 워치와 애플워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애플워치는 출시 초부터 사각형 시계의 형태로 출시했고, 갤럭시 워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원형 시계 디자인으로 출시했기 때문에, 갤럭시 워치라고 하면 원형 디자인이 특징이 되었는데요.
이번 갤럭시 워치8의 경우 액정은 원형으로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지만, 액정을 둘러싼 쿠션디자인으로 스퀘어클 (원형 + 사각형) 형태의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변경된 워치 스트랩 방식
갤럭시 워치7의 경우에도 시계줄을 쉽게 교체하기 쉽도록 버튼형태로 설계가 되어 있었는데요. 기존 컨셉이 아날로그 시계와 동일한 형태로 시계줄을 설계 했기 때문에 시계줄과 워치 본체와 만나는 부분이 본체의 디자인대로 곡선으로 되어 있고, 착용을 하면 결착 부분이 살짝 뜨게 되어 있는 것이 단점이었습니다.
갤럭시 워치 8의 스트랩은 기존 갤럭시 워치 울트라의 스트랩 결착 방식과 동일하게 결착 버튼이 본체 뒷면에 들어가게 되었고, 결착 부분 역시 본체에 삽입되는 형태로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
때문에, 스트랩부분은 1자 형태로 구성이 가능해 졌고 다이나믹 러그 시스템과 더불어 갤럭시 워치 본체 두께도 1.1mm 줄어들어서 착용감에 있어서도 좀 더 손목에 붙는 느낌이라 안정감이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갤럭시 워치 8에 추가된 새로운 기술
항산화 지수 체크
최근 저속노화 열풍이 불고 있는데요. 갤럭시 워치 8의 경우 항산화 지수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이 세계 최초로 들어갔습니다. 항산화 지수는 워치를 차고 있는 상태에서는 측정이 불가능하고 후면 센서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있으면 피부 속 카로티노이드 농도를 확인해서 항산화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카로티노이드 농도는 피부 속에 존재하는 항산화 성분 중 하나인데요. 산화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여 항산화 지수를 체크하게 됩니다. 이 카로티노이드 농도는 광학 측정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이를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하는 연구가 있었는데요. 이는 삼성전자가 2022년 특허 출원 중인 연구입니다.
갤럭시 워치 8 / 갤럭시 워치 7 출시가격 비교
모델 | 40mm 블루투스 | 44mm 블루투스 | 40mm LTE | 44mm LTE |
---|---|---|---|---|
갤럭시 워치8 | 419,000원 | 459,000원 | 449,900원 | 489,500원 |
갤럭시 워치7 | 349,000원 | 389,000원 | 379,500원 | 419,100원 |
갤럭시 워치 8은 갤럭시 워치7 출시가에 비해 각 모델별 동일하게 7만원 정도 상승하였습니다. 상승폭은 약 18% 높은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갤럭시 워치 8 클래식 / 갤럭시 워치 6 클래식 가격비교
모델 | 43mm 블루투스 | 47mm 블루투스 | 43mm LTE | 47mm LTE |
---|---|---|---|---|
워치6 클래식 | 429,000원 | 469,000원 | 459,800원 | 499,400원 |
워치8 클래식 | (미출시) | 569,000원 | (미출시) | 599,500원 |
갤럭시 워치 클래식 모델은 전작인 워치6 클래식보다 출시가격이 10만원 상승하였습니다. 상승폭은 약 20% 높은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워치 8 클래식에서는 43mm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갤럭시 워치 8 / 갤럭시 워치 7 과 변경된 점을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