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주소 풀기 / 단축주소 원래 주소 확인하는 방법

이 가이드는 단축주소 푸는 방법 (원래 주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카카오톡으로 지인에게 웹사이트를 공유할때는 그냥 보내긴 하지만, 마케팅이나 대외용으로 전달해야 할떄는 단축주소로 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문자의 경우에는 웹페이지 주소가 길 경우 문제가 되기 때문에 문자메세지로 보내는 경우 의례적으로 주소를 단축해서 보내게 되는데요.

해당 링크를 사용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짧아진 링크로는 어떤 사이트로 연결되는지 모르기 때문에 스미싱 사기가 걱정되서 접속하기가 꺼려지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으로 단축주소를 풀어서 어떤 사이트로 이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축주소 bit.ly 풀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주소 사이트는 bit.ly입니다. bit.ly로 단축한 주소는 굉장히 쉽게 원래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t.ly/4eX00er+   (주소 제일 뒤에 " + "를 추가해 주세요.)

단축주소 제일 뒤에 +를 추가하면, 아래와 같은 bit.ly 사이트가 표시되며, 이동되는 사이트(또는 페이지)가 Destination 부분에 표시됩니다. 예시로 만든 위의 단축주소는 저의 사이트인 안테나곰으로 이동되는 것을 캡쳐화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죠?

bit.ly에서 확인하기

모든 단축주소 서비스의 단축 주소 풀기

bit.ly가 아닌 경우 별도의 웹사이트에 접속해 단축주소의 원래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리다이렉트디텍티브(RedirectDetective) 라는 사이트인데요.

사이트에 접속한 후 입력창에 단축주소를 붙여넣습니다. 간단하게 해당 단축주소가 어느 주소로 이동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동일하게 안테나곰으로 연결되고 있죠.

리다이렉트 디텍티브로 확인하기

어떤 단축주소이든 가능한데요. 아래와 같이 m.site.naver.com 같은 경우에도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단축주소 서비스인데, 리다이렉트 디텍티브 사이트에서 실제로 연결해보면, 실제로 연결해보면서 검증하기 때문에, 여러번 페이지가 자동 이동하더라도 아래와 같이 페이지 이동 주소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다이렉트 디텍티브

위의 경우에는 m.site.naver.com 으로 만든 단축주소를 넣어봤는데요. naver.me 단축주소 서비스로 옮겨졌다가 다시 form.naver.com (네이버 폼) 서비스로 이동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페이지 하단의 Final Destination 부분이 바로 최종 이동되는 주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주 간단하지만, 스미싱 사고 방지를 위해 단축주소를 아주 쉽고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실제로 문자로 오는 주소의 경우 단축주소를 많이 써서 보내는데, 요새 하도 문제가 많다보니 대부분 링크를 클릭하게 되지 않더라구요. 그럼에도 꼭 링크 확인이 필요하다면, 위의 방법으로 최종 이동 페이지를 확인해 보시고 안전한지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안테나곰이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