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Mobile Apps21

QR코드 체크인 / 개인안심번호 발급받는 방법

QR코드 체크인 / 개인안심번호 발급받는 방법 - 코로나19로 인해 다중이용시설 (카페, 식당 등)을 방문하여 매장 내에서 취식을 하려고 할때는 반드시 QR코드 체크인이나 수시명부를 기록하게 되어 있습니다. QR코드 체크인은 다양한 앱에서 받을 수 있는데요. 손으로 일일히 자신의 정보를 적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도 있는 반면에 매번 앱을 켜고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수기명부에도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닌데요. 일일이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지만, 가장 큰 부분은 바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부분입니다. 초반에는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까지 쓰게 했지만 최근에는 동과 전화번호만 쓰는 걸로 바뀌긴 했습니다만, 여전히 전화번호를 적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관리가 잘되고 있는지도 ..

AG/Mobile Apps2021.02.21

유튜브 지역 제한 해제 방법 (스마트폰, 모바일)

유튜브를 보다보면, 가끔 일부 영상이 유튜브 지역 제한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방송 컨텐츠가 그런데요. 방송 컨텐츠의 경우 하이라이트나 편집된 영상은 국내에서도 볼 수 있지만, 전체 방송은 국내에서는 티빙이나, 웨이브로 유도하기 위해서 올려 놓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영상은 재생을 하면 "동영상을 올린 사용자가 동영상을 해당 국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라는 에러 메세지를 보이는데요. 국내 방송사와 마찬가지로 해외 방송사의 경우에도 국내 저작권에 문제가 있다면, 위와 같은 메세지와 함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없음" 이라는 에러메세지를 보이는데요. 유튜브 지역 제한 해제 방법으로는 VPN으로 국가를 우회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일반 PC의 경우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하..

AG/Mobile Apps2020.08.21

핸드폰 사진 사이즈 줄이기 (비율,크기,용량 줄이는 방법)

이번 글에서는 핸드폰 사진 사이즈 줄이는 방법과 사진 비율, 사진 크기, 사진 용량을 줄이는 앱에 대해 소개해 드릴께요. 핸드폰으로 사진 많이 찍게 되는데요. 스마트폰 사진이 최근에는 용량이 5메가정도 됩니다. 이런 사진들을 전송하려고 하면 한 두장은 문제가 없겠지만, 데이터 요금제 안에서 10장만 전송을 한다고 해도 벌써 50메가가 되는데요. 이럴때는 카카오톡이라면 전용 화질은 낮게 설정하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일반 커뮤니티 사이트들이나 SNS로 전송할때는 데이터 용량을 많이 소모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 핸드폰 사진 사이즈 줄이는 앱으로 사진 크기나 비율을 줄여주면 용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핸드폰 사진 사이즈 줄이는 방법 핸드폰 사진 사이즈를 줄일 때 추천드리는 앱은 Photo Picture Resi..

AG/Mobile Apps2020.08.21

시간관리 학습도구 무료앱 Time Timer 앱 (아이폰 / 아이패드)

이전 글에서 Time Time 개봉기를 소개해드렸는데요. 사실 구글 시간관리 도구라고 알려져 있는 타임타이머는 아이폰, 아이패드로도 정식으로 앱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게 유료앱이라고 알고 있었는데요. 제가 설치해보니 아이폰용 아이패드용 모두 타임 타이머 앱이 무료로 되어 있는 걸 보면, 무료로 바뀐 것 같습니다. 앱스토어에서 'Time Timer'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으로 되어있는 앱들을 볼 수 있습니다. 설치해 줍니다. 아이패드용 타임타이머 역시 아이패드 앱 스토어에서 검색 후 설치가 가능합니다. 아이패드 에디션으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능상 차이점은 없고 가로 모드 시 여러 타임 타이머를 한꺼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타임 타이머 사용법 아이패드 앱 기준으로..

AG/Mobile Apps2020.08.05(1)

집합시설(노래방, 클럽,포차) 출입을 위한 네이버 QR코드 체크인 사용방법

코로나 방역을 위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집합시설인 노래방과 클럽, 헌팅포차의 출입이 전자출입명부를 기록하기 위해 QR코드 체크인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QR코드 체크인은 현재는 네이버앱을 통해서 가능한데요. 카카오톡은 카카오페이에 연동시키려다 결국 불참하기로 하여 주로 네이버 앱을 통한 QR체크인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QR코드 체크인을 할 경우 혹시나 개인정보가 열람되는 것인지 불안하실 수 있는데요. QR코드는 암호화한 뒤 사회보장정보원과 분산 저장하고 역학조사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방역당국이 두 정보를 합쳐서 식별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QR코드 체크인 정보는 계속 저장되는 것이 아닌 4주 후 자동폐기된다고 합니다. 물론 감염의 우려가 매우 높은 장소의 경우 최대한 방문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

AG/Mobile Apps20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