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AI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해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미드저니가 아닌 Stable Diffusion을 통해 직접 이미지를 생성해 보려고 할때 그래픽카드가 없는 경우 굉장히 오랜 시간 걸리기 때문에 해당 분야를 공부하는 데 어려우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당장 그래픽카드를 구입하는 것보다는 GPU 인스턴스를 통해 Stable Diffusion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써보는 것도 좋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ast.ai 서비스를 통해 Comfy U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Vast.ai 가입하기 / 충전하기
먼저 Vast.ai 사이트에서 가입이 필요한데요. 사이트 접속 후 Console 을 선택하고 Login 버튼을 눌러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가입은 구글 ID나 Github 아이디 또는 이메일 아이디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을 한 후에는 카드를 추가하고 크레딧을 충전해야 합니다. Billing 메뉴에서 Payment Methods의 Add Card를 선택하여 결제 카드를 추가합니다.
Credits 에 Add Credit 을 선택하면 얼마나 충전할지 선택할 수 있는데요. 5달러 이상 충전이 가능하므로, 먼저 5달러만 충전합니다.
사용하면서 더 충전하는 게 가능하므로 처음에는 5달러만 충전하여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크레딧 충전 후에 Instance를 생성하게 되면 이용시간에 따라 차감이 되는데요. 아래의 화면과 같이 해당 Instance를 유지시 해당 크레딧으로 몇 시간 유지가 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유의하셔야 하는 부분은 Instance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destroy 를 통해 해당 Instance를 지워주지 않으면 요금차감이 계속 일어납니다. 때문에 사용이 끝났다면 반드시 해당 Instance를 destroy (삭제) 해야 합니다.
Vast.ai Instance 만들기
이제 Instance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화면 중 Instance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먼저 설치할 템플릿을 선택한 후 사용할 Instance의 GPU, CPU 등의 사양을 선택해야 합니다.
- Select Template를 선택합니다.
- Select template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는데요. 여기에서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Comfy UI를 설치하려고 한다면 검색창에 Comfy 를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ComfyUI나 ComfyUI + FLUX에서 선택할 수 있숩니다.
- 이제 Instance의 사양을 선택하면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사양 옆 오른쪽에는 시간당 비용이 표시됩니다. 당연하게도 좋은 사양을 선택하는 경우 시간당 비용이 꽤 높으므로 비용을 고려하여 적당한 선에서 선택하면 됩니다.
- 사용할 Instance에 RENT 버튼을 누르면, 해당 Instance 가 실행됩니다.
Vast.ai Instance 실행하기
- RENT 버튼을 누르는 순간부터 Instance가 실행되며 요금이 차감됩니다.
- 사이드바 메뉴에서 Instance 메뉴를 누르면 현재 실행하고 있는 Instance가 표시되는데요. CONNECTING (준비)상태가 끝나면 OPEN버튼으로 변경됩니다.
- OPEN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웹페이지가 보이면서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메세지가 보이는데요. 고급 버튼을 누른 후 안전하지 않음으로 이동을 선택합니다.
- 아래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페이지가 보이게 되는데요. 여기에 ComfyUI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소 부분을 클릭하면 새창이 뜨면서 ComfyUI가 실행됩니다.
- 새로운 창이 웹브라우저로 열리며 아래와 같은 ComfyUI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실행 버튼을 누르니 테스트용 이미지도 제대로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ast.ai 인스턴스 삭제하기
인스턴스 사용이 끝나면 반드시 해당 인스턴스를 삭제해줘야 추가적인 비용이 청구되지 않습니다. 그대로 놔두면 시간 당 요금이 계속 차감되기 때문인데요.
사이드바에서 Instance를 선택한 후 실행되고 있는 인스턴스에서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팝업창에서 AGREE를 누르면 해당 인스턴스가 삭제되며 더이상 요금이 청구되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ast.ai 를 통해 Comfy UI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최근에는 Stable Diffusion 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해 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노트북같이 외장 그래픽카드가 없는 경우에도 약간의 비용으로 이미지를 생성해보고 또 Comfy UI를 공부해 볼 수 있어서 좋은 옵션이었던 것 같습니다. VastAi로 Comfy UI(Stable Diffusion)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는데요. 꼭 필요하신 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안테나곰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