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2026년 기준)

직장인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2026년) – 보건복지부는 2025년 8월 28일 2026년도 건강보험료율안을 의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도 변경이 될 예정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변경된 2026년 건강보험료율

건강보험료율은 매년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데요. 2024년, 2025년의 경우 동결을 했었는데요. 2026년의 경우 3년만에 1.48%포인트가 오른 7.19% 가 건강보험요율로 적용됩니다.

이렇게 건강보험요율이 변경되면서 직장가입자 평균 월 보험료는 15만 8,564원에서 2026년 16만 699원(2,235원 상승)으로 인상되며,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월 평균보험료 2025년 8월 8,962원에서 2026년에는 1,280원이 오른 9만 242원으로 결정됩니다.

직장인 건강보험료 2026년 계산방법

직장인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소득과 재산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계산되는데요. 직장인의 경우에는 직장가입자의 보수에 따라 보험료가 정해지기 때문에 계산이 아주 쉽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에 따라 계산이 되는데요. 신고된 보수월액에 건강보험료율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x 건강보험료율 (7.19%)
  • 장기요양보험료 = 보수월액 x 장기요양보험료율 (0.9182%)

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6년 변동치를 알 수 없어서 지난 해 기준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이때 월급이 아닌 보수월액이 기준이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달 동안 직장에서 받은 급여 전체금액에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과세 대상 금액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식대(월 20만원까지 비과세), 자가운전보조금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출산 보육수당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등을 제외한 금액이 보수월액이 됩니다.

직장인이 내는 건강보험료 계산 (2026년)

직장인 건강보험료 = 비과세 소득 제외 보수월액 X 3.595%

예를 들어 비과세 소득인 식대 20만원을 포함한 월급이 320만원인 경우, 보수월액은 300만원이며 여기에 건강보험료 7.19%를 곱한 금액이 공제되 지급되는데요.

여기서 50%는 사업주(회사)에서 납부하게 되어 실제 직장인이 납부해야 하는 건강보험료는 3.595%가 됩니다. (예시의 경우 300만원 X 3.595% = 107,850원, 장기요양보험료는 10,773원)

직장인 보수외 건강보험료 계산

만약, 보수월액을 제외한 소득 금액이 2,000만원을 넘는 경우에는 보수외 소득월액 건강보험료가 추가됩니다.

보수월액에 계산되는 소득은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기타소득, 연금소득, 근로소득이 포함되며 이 중 연금소득과 근로소득에 대해서는 50%만 소득을 적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직장인 보수외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참고해 보세요. 해당 글에서 2026년 기준인 건강보험료율 7.19%를 곱하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 직장인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장기요양보험요율이나 상한금액, 하한금액의 경우 추가로 알려진 바가 없어 업데이트가 되는 데로 이 글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댓글 남기기